아기가 분수처럼 토하는 모습을 보면 부모로서 놀라고 걱정이 앞설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흔한 현상이기도 하지만, 원인을 제대로 이해하고 적절히 대처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분수토의 원인, 위험 신호, 그리고 예방법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기 분수토란?
분수토란 아기가 먹은 모유나 분유가 소화되지 않고, 위에서 강한 힘으로 역류하여 분수처럼 뿜어져 나오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인 토(역류)와는 달리, 분수토는 양이 많고 멀리까지 뿜어져 나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인 역류와 분수토의 차이

아기 분수토의 주요 원인
1. 위 소화기 미숙
아기의 위와 식도 사이에 있는 근육(하부 식도괄약근)이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아 위에 들어간 음식이 다시 올라올 수 있습니다.
- 생후 6개월까지는 이런 증상이 흔합니다.
아기의 소화기 발달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2. 빠른 수유 속도
아기가 너무 빨리 먹거나, 많은 양을 한 번에 먹을 경우 위에 과부하가 걸려 분수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젖병이나 모유 흐름이 너무 빠르거나, 수유 간격이 너무 짧을 때 나타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과식
아기가 자신의 위 용량보다 더 많은 양을 먹게 되면, 넘친 음식이 위로 역류하며 분수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분유 또는 모유량이 적정한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4. 가스 문제
수유 중 공기를 많이 삼킨 경우 위에 가스가 차면서 음식물이 역류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 트림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의학적 원인
아주 드물게, 분수토가 특정 질환의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 유문협착증: 위에서 소장으로 음식이 내려가는 통로(유문)가 좁아지는 질환.
- 보통 생후 2~6주에 발생하며, 분수토 후에도 아기가 배고파 보입니다.
- 위식도역류질환(GERD): 잦은 역류로 인해 식도에 자극이 생기는 상태.
아기가 지속적으로 분수토를 하고, 체중 증가가 없거나 불편해 보인다면 소아과에 방문하세요.
분수토의 위험 신호에 해당한다면 병원에 가야 할 때!
분수토가 자주 발생하더라도, 대부분의 경우는 심각한 문제가 아닙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신호가 나타나면 의학적 검진이 필요합니다.
- 체중 증가가 없거나 감소
- 분수토 후 아기가 극도로 피곤하거나 무기력함
- 토사물에 초록색(담즙) 또는 피가 섞여 있음
- 잦은 울음과 불편함 표시
- 38도 이상의 고열 동반
아기 분수토 예방법
1. 적정 수유량과 속도 조절
- 아기의 위 크기를 고려해 한 번에 많은 양을 먹이지 않도록 하세요.
- 수유 시간: 10~15분 이상 천천히 먹도록 유도.
- 젖병을 사용할 경우, 적정 속도의 젖꼭지를 선택하세요(너무 빠르거나 느리지 않게).
2. 수유 후 바른 자세 유지
- 수유 직후에는 아기를 30분 정도 세워서 안아주는 자세를 유지하면 음식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 아기를 눕히기 전에 반드시 트림을 시켜주세요.
3. 수유 간격 조정
- 수유 간격을 2~3시간 이상 유지하여 위가 충분히 비워질 시간을 줍니다.
- 간격이 너무 짧으면 위에 음식물이 남아 분수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수유 환경 개선
- 안정된 환경에서 수유하세요(소음, 스트레스가 적은 공간).
- 수유 중 아기가 공기를 덜 삼키도록 젖병을 기울이는 각도를 조절하세요.
5. 수면 자세 관리
- 아기를 눕힐 때는 머리를 약간 높인 자세(15~30도)로 눕히면 역류를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 단, 베개는 사용하지 마세요. 대신 아기용 경사 침대를 활용하세요.
아기의 분수토와 관련된 궁금증
Q1. 분수토가 많아도 아기가 잘 자고 먹는다면 괜찮을까요?
네, 아기가 분수토를 한 후에도 활발하고 체중이 정상적으로 증가한다면 심각한 문제는 아닙니다.
Q2. 분수토와 역류는 계속 나이 들면서 해결되나요?
대부분의 아기들은 생후 6~12개월 사이에 위와 식도 근육이 발달하면서 분수토가 줄어들고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Q3. 분수토 후 수유를 다시 해야 하나요?
분수토 직후 아기가 배고파 보인다면 10~15분 후에 적은 양으로 다시 수유를 시도해 보세요.
'임산부와 이른둥이 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아기 감기, 폐렴, 독감 증상과 처치 방법. 병원에서는 어떻게 치료할까? (0) | 2025.02.01 |
---|---|
신생아 변비와 가스 문제 해결법, 건강한 아기 배를 위한 관리법 알려드려요~! (0) | 2025.01.30 |
신생아의 용쓰기, 언제까지 계속될까? 아기한테서 이계인 소리가 나요! (0) | 2025.01.27 |
젖병 소독 주기와 방법유리병 vs 플라스틱, PP소재 젖병 소독 (0) | 2025.01.26 |
아기 힙 클렌저 꼭 써야 할까? 여아·남아 차이점과 올바른 선택법 (0) | 2025.01.23 |